monolithic 2

02. MSA 설계 전략

이번 Chapter에서는 MSA 설계 당시의 전략과 아키텍쳐 설계에 대해 기술하겠다.Monolithic App 에서 MSA 로 전환에 대한 기본적 정의나 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블로그에서 잘 설명하고 있기에 넘어가겠다.   MSA 전환 프로젝트 시작점에서, 필자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의 성공 기준은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RESTFul API가 적용된 프로젝트독립적인 배포가 가능하도록 결합도를 낮춘 프로젝트클라우드가 적용된 확장성, 가용성이 확보된 프로젝트자동화된 배포 체계가 갖추어진 프로젝트DevOps 조직 체계를 적용한 프로젝트 마이크로서비스로의 전환이 진행중인 또는 완료된 프로젝트 사례들을 살펴보면 위와 같은 공통의 목표를 달성해 내고자 했을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기술 지향적 목표 수립만으로는..

1) Kaoni Cloud/MSA 2024.07.09

01. 개요

이번 chapter에서는 Kaoni Cloud 구축한 MSA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모든 개발을 완료 후 회고하며 작성하기에(특히 MSA2.0 개발 완료하고 8개월이 지난 시점이기에), 디테일에 미흡할 수 있는 점 양해 부탁한다. 아래의 필자가 구축한 Kaoni Cloud 아키텍쳐 구성도 이다. 2개의 Cluster(Kaoni Cloud 01, Kaoni Cloud 02)를 구축한 이유에 대해선, 앞서 언급하였지만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겠다. 기존의 Monolithic APP을 MSA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2가지 버전이 개발되었다.초기 버전인 MSA1.0과  내가 개발한 MSA2.0.  2가지 버전의 MicroService app을 개발/운영하기 위해 2개의 Cluster를 설계하게 되었고MSA1.0의 a..

1) Kaoni Cloud/MSA 2024.07.08